반응형
반응형
방문일 : 2024년 5월 평일주소 : 서울 마포구 성암로 211 미증유영업시간 : 월~금(11:30 - 22:00), 브레이크타임(14:30 - 17:00) 바질 뇨끼, 해산물 오일, 라자냐, 트러플 화이트 라구 주문. 살치살 스테이크와 연어 파피요트를 주문하고 싶었는데, 두 메뉴는 시간이 오래 걸려 미리 예약해야 한다고 한다. 예약 없이 주문이 가능하긴 한데 40분 넘게 시간이 걸린다고 해서 주문하지 않았다.점심에는 코스로 이용이 가능하여, 메인을 고르면 샐러드와 식전빵, 디저트가 같이 제공된다. 디저트는 그때 그때 종류가 바뀌는 것 같다. 이번에는 귀여운 사이즈의 에그 타르트가 디저트였다. 바질 뇨끼는 이제까지 먹어본 뇨끼 중에 제일 맛있었다. 뇨끼가 좀 느끼하거나 식감이 별로인 경우가 많은데, ..
유명한 보조지표 중 하나인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Stochastic Oscillator)는 이를 활용한 스토캐스틱 슬로우(Stochastic Slow)와 구별하기 위해 스토캐스틱 패스트(Stochastic Fast)라는 이름으로 더 자주 불린다. 스토캐스틱은 윌리엄 더니건(William Dunnigun)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조지 레인(George Lane)이 이를 널리 확산시켰다. 가장 비슷한 지표는 앞서 소개했던 윌리엄의 %R(William's % Range)인데, 둘 다 관찰 기간 내 최저가와 최고가 사이에서 현재 가격을 표시하는 점은 같으나 스토캐스틱의 경우에는 최저가 대비 현재가, 윌리엄의 %R은 최고가 대비 현재가를 표시한다. 또한, 윌리엄의 %R은 그 자체로 사용되나 스토캐스틱의 경우에는 이동..
방문일 : 2024년 5월 주말주소 : 서울 강서구 공항대로 247 퀸즈파크나인 C동 217호 지니스 영업시간 : 월~일(11:30~23:00) 그린 과카몰리 샐러드, 그릴드 치킨 브리또(보울로 변경), 쉬림프 나쵸, 큐브 스테이크 케사디아 주문한 메뉴가 모두 맛있었고, 향신료가 강하지 않아 조금 대중적인 맛의 멕시코 음식으로 느껴진다. 과카몰리 샐러드에 과카몰리를 푸짐하게 줘서 채소를 다 먹고 과카몰리만 남아 다른 메뉴와 같이 맛있게 해치웠다.주문한 메뉴 중에서는 쉬림프 나쵸가 제일 간이 세고 헤비하게 느껴졌다. 일반 나쵸 위에 소스가 잔뜩 올라가고 새우가 올라갔는데 야채는 없었다.브리또보다 보울이 먹기 편할 것 같아 1,000원을 추가하고 보울로 변경했는데, 브리또를 또띠아로 싸기 전 상태로 플레..
이번에 소개하는 지표는 그 유명한 상대 강도 지수 (RSI, Relative Strength Index) 되시겠다. 이 지표를 만든 사람은 존 웰스 와일더 (John Wells Wilder)는 RSI 외에도 평균 방향 지수(ADR, Average Directional Index), 파라볼릭 SAR(Parabolic Stop and Reverse), 그리고 일전에 소개했던 ATR(Average True Range) 등을 만든 기본적 지표 제작자로 유명한 사람이다. 상대 강도 지수는 우리나라보다 미국 등 서방에서 더 유명하고 많이 사용되는 지표로 승률로만 따지만 무시무시한 승률을 자랑한다. RSI은 대표적인 모멘텀 지표이고 과매수, 과매도 구간을 측정하는데 아주 유용하게 사용된다. RSI는 종가를 전일과..
모멘텀은 지표 이름대로 모멘텀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거창한 이름과는 달리 구하는 방법은 아주 단순하다. 보통 10일 이전 가격과 현재 가격을 비교하는 건데, 기본적으로 가격변화율도 아니고 가격을 비교하는 지표다. 따라서 이걸 좀 풀어서 이야기해 보면 10일 이전 종가와 오늘 종가의 가격 차이라는 말이다. 이렇기 때문에 가격 단위가 높은 종목은 가격 단위가 낮은 종목에 비해 모멘텀 지표가 상대적으로 크게 혹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나게 된다. 이런 모멘텀 지표의 문제 때문에 현재 가격과의 비율로 치환하여 보거나 하는 식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모멘텀 지표는 종목의 소위 말하는 모멘텀, 즉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을 보는 데 사용하며 특정일 이전 값과 현재 가격을 비교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방향성을 보이는지..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