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APO(Absolute Price Oscillator)는 단기, 장기 두개의 이동 평균선을 그려놓고 이동평균간의 가격차이를 측정하는 보조지표이다. 보통 EMA(지수 이동 평균, Exponential Moving Average) 두 개를 각각 10, 20 또는 12, 26의 구간을 그려 두 이동 평균간의 가격 차이를 이용하여 시장이나 종목의 추세, 그리고 모멘텀의 강도를 측정한다. 단기 이동 평균이 장기 이동 평균보다 상단에 위치해있을 경우는 양수를 나타내며 이는 상향 추세, 반대의 경우는 약세장으로 본다. 그리고 이동 평균선 간의 가격 차이가 클 수록 추세가 강하다고 본다. 매매 전략은 두 이동 평균이 교차하는 지점을 매매 시점으로 보며 기본적인 골든 크로스, 데드 크로스(Golden Cross, D..
유명한 보조지표 중 하나인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Stochastic Oscillator)는 이를 활용한 스토캐스틱 슬로우(Stochastic Slow)와 구별하기 위해 스토캐스틱 패스트(Stochastic Fast)라는 이름으로 더 자주 불린다. 스토캐스틱은 윌리엄 더니건(William Dunnigun)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조지 레인(George Lane)이 이를 널리 확산시켰다. 가장 비슷한 지표는 앞서 소개했던 윌리엄의 %R(William's % Range)인데, 둘 다 관찰 기간 내 최저가와 최고가 사이에서 현재 가격을 표시하는 점은 같으나 스토캐스틱의 경우에는 최저가 대비 현재가, 윌리엄의 %R은 최고가 대비 현재가를 표시한다. 또한, 윌리엄의 %R은 그 자체로 사용되나 스토캐스틱의 경우에는 이동..
이번에 소개하는 지표는 그 유명한 상대 강도 지수 (RSI, Relative Strength Index) 되시겠다. 이 지표를 만든 사람은 존 웰스 와일더 (John Wells Wilder)는 RSI 외에도 평균 방향 지수(ADR, Average Directional Index), 파라볼릭 SAR(Parabolic Stop and Reverse), 그리고 일전에 소개했던 ATR(Average True Range) 등을 만든 기본적 지표 제작자로 유명한 사람이다. 상대 강도 지수는 우리나라보다 미국 등 서방에서 더 유명하고 많이 사용되는 지표로 승률로만 따지만 무시무시한 승률을 자랑한다. RSI은 대표적인 모멘텀 지표이고 과매수, 과매도 구간을 측정하는데 아주 유용하게 사용된다. RSI는 종가를 전일과..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