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앞서 pykrx를 통해 KRX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서 주식과 관련된 주가, PER, PBR, 배당 수익률, 투자주체별 거래실적, 외인 지분율 등 많은 데이터를 가져와 봤다. 근데 pykrx는 KRX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서 볼 수 있는 거의 모든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고 하였다. 이 중에 빠진 게 하나 있는데 우선 한국거리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들어가 보자 메뉴에서 주식 -> 세부안내 -> PER/PBR/배당수익률(개별종목)을 따라가보면 아래화면처럼 선행 EPS와 선행 PER이 있다.(화면번호 12021) 근데 앞서 살펴본 펑션들 중에 이 화면에 대응되는 펑션은 get_market_fundamental 인데, 여기에는 선행 EPS, 선행 PER이 없었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그걸 가져와보겠..
이번에 살펴볼 패키지는 한국거래소(KRX)에서 데이터를 스크래핑하여 가져오는 pykrx이다. 한국거래소에서는 정보데이터시스템이라는 창구를 통해 엄청난 데이터들을 투자자들에게 공개하고 있다. 우리가 증권사 앱이나 네이버 증권에서 확인하는 대부분의 데이터들의 원천은 바로 거래가 실제로 발생하는 한국거래소이다.(한국 거래소(KRX) 정보 데이터 시스템에 관한 내용은 아래 참조)2024.03.28 - [주가 예측 모델/관련 package] - 한국거래소(KRX) 정보 데이터 시스템(주식/ETF/채권/파생상품 가격/EPS/PER/배당/공매도 등) 한국거래소(KRX) 정보 데이터 시스템(주식/ETF/채권/파생상품 가격/EPS/PER/배당/공매도 등)네이버 증권이던 증권사 앱이던 그들이 제공하는 종목별 정보, 가격,..
네이버 증권이던 증권사 앱이던 그들이 제공하는 종목별 정보, 가격, 거래량, 매매주체, 공매도.. 이 모든 데이터의 원천이 어디일까? 대부분 한국거래서(KRX)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들이다. 한국거래소에서는 정보데이터시스템(이름이 이상하긴 하지만) 이란 걸로 꽤 괜찮은 데이터 세트를 일반에 공개하고 있다. https://data.krx.co.kr/ 정보데이터시스템 data.krx.co.kr 들어가보면, 지수, 주식, ETP, 채권, 파생상품 등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대부분 상품에 대한 데이터들을 제공하고 있다. 나의 경우는 종목별 상장일, 시총, 거래량 등을 excel이나 csv 파일로 다운 받아 어떤 종목을 대상으로 training 할지, test 데이터로 할지를 판단할 때 사용했다. 이 외에도 종목별 EP..
yfinance에 이어 파인썬으로 주식 주가 정보를 가져오는 패키지 중 많이 사용되는 패키지이다. 국내 주식은 KRX에서 가져오는 듯하고 이 외에도 naver, investing.com, yahoo! finance 등에서 데이터를 가져온다. yfinance에서는 국내 주식 종목 데이터가 전부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나 해당 FinanceDataReader 패키지는 naver에서 가져오다 보니 코스피, 코스닥뿐만 아니라 코넥스 종목까지 다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국내 주식을 대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경우, 가장 큰 장점은 종목코드(Ticker)를 yfinance의 경우, 오만 국가의 티커가 다 있다 보니 '009530.KS'로 펑션을 호출해야 하는 반면, FinanceDataReader의 경우,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